제주대학교 Repository

내용교수지식(PCK)을 적용한 문장 성분 교수․학습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aching method of sentence composition apply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관련된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측면에서 중학교 문법 영역의 문장 성분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다.
국어과에서 문법은 국어의 실제적인 현상 자체를 탐구하는 영역이며, 학교 문법에서 문장 성분은 단어와 문장 단위를 아우르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문장 성분을 교육하는 것에 있어 다양한 상황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교사가 효율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교수지식의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수업에 있어서 새롭게 개정되고 편찬된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사가 재구성한 교수·학습 내용을 통해 학습자에게 전달되어진다. 즉, 교사를 통해 학습자에게 교육이 이루어지며, 교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느냐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수업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수업을 진행해야한다.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상황과 학습자를 고려한 수업이 아닌, 단순한 지식 설명 위주의 획일화된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학습자가 명확하게 교육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한 다. 이에 문법 교육에서 교사는 단순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습자에게 가르칠 내용을 변환하여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하는 재구성자로 거듭나야 하며, 이때 요구되는 지식이 내용교수지식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고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인 내용교수지식을 적용하여 국어과 문장 성분의 수업 지도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교사 지식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내용교수지식만의 특성을 기반으로 국어과 문법 영역의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내용교수지식의 개념을 국어과 문법 영역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함으로써 문장 성분 교육을 보다 전문적으로 마련하기 위함이다.
Ⅲ장에서는 문장 성분 교수·학습 구안에 필요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현직 교사들의 면담과 그들의 수업 지도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육 자료와 교수·학습 분석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문장 성분의 교육 내용을 구안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위 논의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국어과 문법 내용교수지식의 기준으로 설정한세 가지를 적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학습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문장 성분 영역에 대한 유의미한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문법 수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내용교수지식의 개념을 중심으로 국어과 문법 영역에 특성에 맞는 문법 내용교수지식의 개념과 기준을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장 성분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 상황에 따라 교사가 적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식의 수업 지도안을 현실화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eaching the sentence composition of the middle school grammar domain in term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grammar is an area that explores the actual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itself; in school grammar, sentence composition encompasses words and sentence units. When teaching the sentence components, emphasis is placed on the viewpoi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enables teachers to efficiently offer classes according ro various situations and learner's levels. In a classroom, the newly revised and edited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delivered to learners through teachers' reconstruct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other words, learners' education is mediated by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techniques of teachers influence learners' understandings. Therefore, teachers should reorganize their classes based o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to provide effective lessons to learner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teachers' expertise, they often provide uniform classroom instructions with simply descriptive knowledge rather than the actual considerations of situations and learner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clearly understand the educational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reorganizers who transform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learners and help them reinterpret what they learn, not mere knowledge deliverers. The knowledge required in this process i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is regard, using the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is a professional knowledge of teachers for learners' motivation and effective comprehension,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sentence composi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n Chapter Ⅱ, the concepts of teach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re closely discussed. Also,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standards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he grammar area in Korean language subject were set, which suggested more specialized education on sentence composition by specifying the general ide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uitable for the grammar area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n Chapter Ⅲ, the current situation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required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entence composition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with the current teachers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of these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ovided the basis for realizing the contents of sentence composition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In chapter Ⅳ, diverse educational plans were suggested by applying three criteri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grammar area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 variety of approaches encouraged learners to motivate themselves and to achieve learning spontaneously. It resulted in effective grammar education through meaningful learning about sentence composition. This study specified the concept and criteria of gram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pplicable to the grammar area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ased on the existing ide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gges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of sentence compos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to sugges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situations of the education
Author(s)
김나연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79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89
Alternative Author(s)
Kim, Na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송현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논의 구성 7
Ⅱ. 내용교수지식의 이론적 전제 8
1. 교사 지식과 내용교수지식 8
1) 교사 지식의 정의와 유형 8
2) 내용교수지식의 개념 및 요소 11
2. 문법 영역의 내용교수지식 16
1) 문법 내용교수지식과 교사 16
2) 문법 내용교수지식의 특성 및 기준 18
Ⅲ. 문법 영역 내용교수지식 구현 양상 분석 21
1. 문장 성분 교육자료 분석 22
1) 교육과정 분석 22
2) 교과서 분석 27
2. 문장 성분 교수학습 분석 35
1) 대상 및 방법 35
2) 교사 면담 및 수업 지도안 분석 38
Ⅳ. 내용교수지식 적용 문장성분 교육 방안 48
1. 문장 성분 교육 내용 구성 방안 및 기준 48
2. 문장 성분 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 49
1) 스토리텔링형 내용교수지식 50
2) 활동형 내용교수지식 57
3) 개념 설명형 내용교수지식 69
Ⅴ. 결론 76
76
[부록] 84
85

교사 지식의 유형 9
연구자들이 정의한 내용교수지식의 구성요소 15
2009 개정과 2015 개정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 비교 23
2009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장 성분 성취기준 제시 양상 26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 28
학년별 문법 영역 성취기준 구현 양상 28
교과서에 적용된 2009 교육과정 문법 영역 성취기준 순서 29
10종의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성분 내용 구성 방식 32
면담 참여 교사 인적 사항 35

문법 내용교수지식의 기준 2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나연. (2019). 내용교수지식(PCK)을 적용한 문장 성분 교수․학습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