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陶山十二曲의 文學性과 指導方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Literary Value of Dosansibigok and its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bstract
퇴계의 은 조선전기 산수 문학의 대표 작품으로 시조의 정형성을 지키면서도 주제의식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육곡계 형식을 사용하여 육곡계 시가의 전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자연 속에서 느끼는 흥취와 감흥 그리고 학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자연 경물과 조화롭게 표현한 작품으로 후대 시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산십이곡의 교육적 가치를 여러 측면에서 검증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과목 영역 중 고전 작품이 주로 다루어지는 '한국문학의 성격과 역사' 부분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에 초점을 맞춰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지도방 안을 연구하였다.
첫째, 에서 자연 경물을 표현할 때 집중과 배제의 방법을 통해 전경화화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서경미와 자연 경물과 감정의 조화를 통해 형성 되는 '賞心'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퇴계의 유학적 산수관이 작품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둘째, 의 교훈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언지 여섯 수와 언학 여섯 수의 주제의식을 함의하고 있는 각 부분의 마지막 수를 중심으로 퇴계가 지은 한시와 연계하여 퇴계가 후학 및 후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작품에 어떻게 표현했는지 연구하였으며 '도산십이곡 발'에 언급된 온후돈후의 경지가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이별의 '육가'와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셋째, 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퇴계가 속한 영남학파 문인 중 퇴계 이전의 문인인 이현보와 주세붕의 시가 작품과 비교하여 퇴계가 이들 시가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개선하여 발전된 산수 문학을 창작하였 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후 창작된 여러 문인들의 작품을 분석 하며 퇴계의 문학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하였으며 의 육곡계 형식이 후대에 전승되어 하나의 전통을 확립하였음을 후대 육곡계 시가 작품을 분석하며 고찰하였다.
넷째, 위에서 제시한 '賞心'을 학습자 중심 개념으로 재정의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현행 고전시가 교육 체제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한국문학의 성격과 역사'에 해당하는 여섯 개의 성취기준 각각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발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로 적용할 수있음을 반응중심모형을 반영한 과정안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이 현대에서도 충분히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현행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고전시가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및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by Toegye,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landscape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the Yukgok-style poetry song by using the Yukgok-style format sufficiently expressing the theme while maintaining the Sijo pattern. Also, the work expressed the author's inspiration and enjoyment felt from nature as well as his ideas of scholarship harmoniously with natural landscape, thereby influencing other poetry songs in the later period.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values of Dosansibigok were reviewed from various angles,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ction in which the majority of traditional literature works were covered with respect to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literature subject were suggested. First, in the expressions of natural scenery in Dosansibigok, the techniques of concentration and exclusion were used. In the foregrounding process, the sense of rewarding (賞心) formed through the harmony of romantic aesthetics and natural scenery and the emotion was explored along with how Toegye's Confucian landscape view was reflected in his works. Second, the lessons of were discussed. Shedding light on the last sentence of each part implying the themes of Six Eonji and six Eonhak, the study analyzed how Toegye expressed the words that he would like to leave to his scholarly followers and descendants in relation to other poems written by Toegye. 'Yukga' by Yibyeol was also compared regarding how the phase of Onhudonhu mentioned in 'Dosansibigok Bal' was revealed in the work. Thir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was reviewed. Compared to the poetry songs by Yi Hyeonbo and Ju Sebung, who were the Yeongnam school scholars prior to Toegye, Toegye accepted the strengths of these poetry songs and improved their weakness to create advanced landscape literature. In order to reveal the influences of Dosansibigok, works by various scholars created after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Yukgok-style poetry songs in the later period, the Yukgok-style format of was handed down and established a strand of tradition. Fourth, 'the sense of rewarding' mentioned above was redefined as learner-centered,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raditional poetry song education system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ere pointed out. For the improvement plans, the study proposed the specific questionings for the goals of each of the six achievement standards that correspond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ction. Moreover, its practical applicabil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process plan reflecting the reaction-centered model. This study confirms that has grea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problems, improvement plans and orientation of traditional poetry song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Author(s)
趙志勳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8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90
Alternative Author(s)
Jo, Ji H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Advisor
孫五圭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1
Ⅱ. 陶山十二曲의 文學性과 배경 6
1. 山水景物의 描寫와 서경미 6
2. 賞心 表現과 서정성 11
3. 유학적 山水觀과 현실성 19
Ⅲ. 陶山十二曲의 敎訓性 23
1. 言志와 산수 은거의 이상 23
2. 言學과 학문 완성 의지 28
3. 溫柔敦厚와 인격 수양 32
Ⅳ. 陶山十二曲의 文學史的 의의 39
1. 한국 산수문학의 完成과 시조 창작 39
2. 사대부 시가의 정형성 확보 47
3. 육곡계 시조의 전통 형성 58
Ⅴ. 반응중심모형을 活用한 陶山十二曲의 指導方案 66
1. 학습자 중심 개념으로서의 賞心 66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전시가 교육 68
3. 반응중심모형을 활용한 陶山十二曲 敎授學習 指導의 實際 74
Ⅵ. 結論 98
101
10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趙志勳. (2019). 陶山十二曲의 文學性과 指導方案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