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ect of Midle Schol Student Depres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 Moderating Efects of Social Suport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adulescents,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who cannot hang out enough due to the recent Corona 19 pandemic, have gradually become too dependent on smartphon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With this end in mind, this study set social support as a controlling variable.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ffect their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ocial support? Second, how can social suppor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ird, can social support be a moderating 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and their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o this en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Jeju area. Of those surveyed 516 people were selected excluding the data that were judged to contain missing values or answer without sincerity. And finally data from 500 smartphone us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end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a a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negatively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ird, social support can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and their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for youth counseling and education. Social support is found to be a protective factor that prev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get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It i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social support can be a protective factor to prevent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which can be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explored ways to give an answer to the problem of middle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erefore,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depression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외부 출입의 어려움으로 인해 청소년 특히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늘어남에 따른 문제적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의 목적은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보호 요인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조절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 및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두 번째,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세 번째,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중 결측치를 포함하거나 성의 없이 작성되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고 516명을 선택하였고, 그 가운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5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학생의 우울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에는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청소년 상담 및 교육에 주는 제언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는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는 보호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중학생들에게 부모, 교사, 친구들의 지지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을 제언하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라는 보호 요인을 확인했으며 이는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하려는 방안을 탐색했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가 중학생을 위한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uthor(s)
이승록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5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94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 R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10
3. 연구모형 11
4. 용어의 정의 12
Ⅱ. 이론적 배경 14
1. 스마트폰 과의존 14
가. 스마트폰 과의존의 개념 14
나. 스마트폰 과의존의 측정 18
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실태 19
라.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선행연구 22
2. 우울 26
가. 우울의 정의 26
나. 우울의 측정 27
다. 청소년기의 우울 28
3. 사회적 지지 31
가. 사회적 지지의 의미 31
나. 사회적 지지의 측정 34
다. 사회적 지지 관련 선행연구 34
4. 각 변인과의 관계 36
가.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36
나. 우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37
다. 사회적 지지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39
Ⅲ. 연구방법 43
1. 연구대상 및 절차 43
2. 측정 도구 44
가. 우울 척도 44
나.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46
다. 사회적지지 척도 47
라. 종합 48
3. 자료처리방법 5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1
1. 스마트폰 사용실태 51
2.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과의존수준 53
3.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54
4. 중학생의 우울, 사회적지지와 스마트폰 과의존간의 상관관계 55
5.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57
6. 중학생의 우울이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에 미치는 영향 58
가. 중학생의 우울이 전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58
나. 중학생의 우울이 사회적 지지 중 부모지지에 미치는 영향 58
다. 중학생의 우울이 사회적 지지 중 교사지지에 미치는 영향 59
라. 중학생의 우울이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에 미치는 영향 60
7.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61
8.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62
가.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전체) 조절효과 62
나.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지지 조절효과 64
다.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지지 조절효과 66
라.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친구지지 조절효과 68
Ⅴ. 논의 및 제언 71
1. 논의 71
2. 제언 79
Ⅵ. 참고문헌 83
Abstract 100
부록 10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승록. (2021). 중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