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성인 남성의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실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by Sodium intake level in Male adul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 남성의 식행동 및 식품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나트륨 섭 취 수준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한 뒤 식행동, 영양소 섭취 상태, 식사의 질을 분석 함으로써, 제주지역 성인 남성의 영양개선 및 건강증진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19-64세 성인 남성 375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 면접방식의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5.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분석,  -test, ANOVA (Duncan)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연령에 있어서는 40-49세 (30.7%)와 50-59세 (30.7%)가 가장 많았고, 교육수준에 있어서는 대학교 이상 (7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인상 태는 기혼 (79.5%), 가구소득에 있어서는 상 (28.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 상자의 거주지역은 제주시 (66.4%)가 서귀포시 (33.6%)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직업 은 생산직 (37.9%)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체질량지수(BMI)는 24.75로 나타 났고, 비만도에 있어서는 정상체중군 (58.1%)이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있어서는 2,000mg 미만 섭취군 8.8%, 2,000-3,000mg 미만 섭취군 25.9%, 3,000-4,000mg 미만 섭취군 29.9%, 4,000mg 이 상 섭취군 35.5%로 나타났다 (p<0.01). 거주지역에 따른 나트륨 섭취수준에 있어서 제주시는 나트륨 4,000mg 이상 섭취군에서 75.2%로 가장 높았고, 서귀포시는 나트 륨 2,000mg 미만 섭취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1).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식사빈도에 있어서는 아침, 점심, 저녁 모두 주5-7회 섭취가 가장 많았 으며, 점심 (96.3%), 저녁 (94.9%), 아침 (54.4%) 순으로 나타났고 아침식사는 섭취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세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나트륨 섭 취량이 낮을수록 에너지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고 (p<0.001), 단백질 (p<0.001), 지방 (p<0.001), 비타민A (p<0.01), 비타민B1 (p<0.001), 비타민B2 (p<0.001), 나이아신 (p<0.001), 칼슘 (p<0.001), 인 (p<0.001), 철 (p<0.001), 나트륨 (p<0.001), 칼륨 (p<0.001), 식이섬유에 있어서는 나트륨 섭취수준이 증가할수록 섭취량이 증가하였 다. 네째,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에너지 구성 비율에 있어서는 2,000mg 미만 섭취 군에서 탄수화물 (59%)과 단백질 (20%)의 에너지비는 적정하였으나, 지방 (14%)은 부족하였다. 2,000mg 이상 섭취군에서 단백질비 (p<0.001)는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 비 (p<0.01)는 감소하였으며 지방의 에너지비 (p<0.05)는 영양기준보다 낮게 섭취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이 증가할수록 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 취비율은 증가하였으나, 모든 섭취군에서 칼슘은 낮고, 비타민C는 나트륨 4,000mg 이상 섭취군을 제외한 섭취군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섭취기준 대비 평균 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에 있어서는 나트륨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필요량 미 만 섭취자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1). 특히, 2,000mg 미만 섭취군에 서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은 칼슘 (93.9%)이 가장 높았으며, 비타민A, 비타민 C, 에너지, 나이아신 순으로 부족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식품섭취량 분석 결과, 식물성 식품 은 1,090.95g였으며 곡류 (p<0.001), 당류 (p<0.05), 채소류 (p<0.001), 해조류 (p<0.01), 유지류 (p<0.01), 양념류 (p<0.001) 순으로, 동물성 식품은 358.49g였으며 육류 (p<0.01), 어패류 (p<0.001), 난류 (p<0.001)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에너지 섭취량은 곡류 (p<0.001), 유지류 (p<0.001), 채소류 (p<0.001), 양념류 (p<0.001), 해 조류 (p<0.01), 육류 (p<0.01), 어패류 (p<0.001), 난류 (p<0.001) 에서 증가하였다. 일곱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식물 성 식품의 나트륨 섭취량은 3,043mg였으며 양념류가 (p<0.001), 곡류 (p<0.001), 채 소류 (p<0.001), 해조류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물성 식품의 나트륨 섭취량 은 632.09g이었고 어패류 (p<0.01), 육류(p<0.01), 난류(p<0.001), 우유 및 유제품 순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트륨 2,000mg 미만 섭취군의 경우 식물성 식품은 양념류, 채소류, 곡류, 해조류 순으로, 동물성 식품은 육류, 어패류, 우유 및 유제품, 난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조사대상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NAR은 1 미만으로 나타나 권장섭 취량 대비 부족하였고 나트륨 4,000mg 이상 섭취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트 륨 2,000mg 미만 섭취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MAR) 는 나트륨 섭취 수준이 낮을수록 영양소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p<0.001). 모든 군 에서 영양소 질적 지수(INQ)는 칼슘을 제외하고 1 이상으로 식사의 질이 좋은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제주지역 성인 남성의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라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 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나트륨 섭취 수준을 고려하여 과잉섭취 영양소에 대한 영 양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나트륨 목표섭취량 2,000mg 미만 섭취자는 영양소 질적 지수에 의한 각 영양소의 질은 양호하므로 영양기준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동 일 식품군의 섭취량을 늘리는 영양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나트륨 기여식품군에 대해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여 올바른 식품선택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영양 소 섭취상태에 따라 곡류군은 나트륨이 함유되지 않은 전곡류(현미, 통밀 등)의 섭 취를 늘리고, 어패류의 저나트륨 조리법을 보급하며, 채소류군에서는 나트륨을 줄이 고 비타민 C 섭취를 늘릴 수 있도록 저염채소류 음식을 보급하고, 생채소와 생과일 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영양 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인 남성에게 가장 부족한 칼슘의 권장섭취량을 충족할 수 있는 유제품에 대한 지도방 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to improve the nutrient intake and health of male adults in Jeju, by examining their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classifying them into four groups by sodium intake, and analyzing their dietary behavior, state of nutrient intake, and quality of their meal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November, 2017,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ing 375 men aged 19 to 64 living in Jeju.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Win Program(Ver. 25.0) and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d ANOVA(Duncan)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ost in 40-49 aged group(30.7%) and 50-59 aged group(30.7%) in their age, the highest in university-graduate or more(71.7%) in the educational standard, highest in married-group(79.5%) in the marital status, and the highest in upper class in the household income level. The subjects residing in Jeju city area(66.4%) were more than in Seogwipo city area(33.6%), and the production workers(37.9%) were the highest in the job of the subjects. BMI was displayed as 24.75 and the normal weight group(58.1%) was the highest in the degree of obesity. Second, the levels of sodium intake groups of the subjects showed that 8.8% of the subjects ingested sodium less than 2,000mg, 2,000-3,000mg sodium ingesting group was 25.9%, 3,000-4,000mg sodium ingesting group was 29.9%, and over-4,000mg sodium ingesting group accounted for 35.5% (p<0.01). the level of sodium intake by the residential area showed that over-4,000mg sodium intake group(75.2%)was highest in Jeju city area, and less-than-2,000mg sodium intake group was the highest in Seogwipo city area(p<0.01). The frequency of each meal by the level of sodium intake was the highest in 5-7 times per week in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being 96.3% in lunch, 94.9% in dinner, and 54.4% in breakfast, and breakfast meal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dium intake groups(p<0.05). Third, in the daily mean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 the lower sodium intake level was, the lower the amount of daily mean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 was. As the sodium intake increased, the intake also increased in energy(p<0.001), protein(p<0.001), fat(p<0.001), vitamin A(p<0.01), vitamin B1(p<0.001), vitamin B2(p<0.001), niacin(p<0.001), calcium(p<0.001), phosphorous(p<0.001), iron(p<0.001), potassium(p<0.001), and fiber. Fourth, in the ratio of energ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dium intake, less-than-2,000mg sodium intake group had carbohydrate-energy ratio of 59%, and protein-energy ratio of 20%, which was appropriate, but fat-energy ratio of 14%, which was deficient in fat. On the other hand, in over-2,000mg sodium intake group, the protein-energy ratio(p<0.001) increased, but the carbohydrate-energy ratio(p<0.01) decreased, and their fat-energy ratio(p<0.05) was less than the nutrient standards(p<0.01). Fifth, as the level of sodium intake increased, the ratio of nutrient intake to standard also increased. Calcium intake was low in every level of the groups, and all the groups except over-4,000mg sodium intake group were deficient in vitamin C. In regard with the ratio of those who intake less than average requirements based on the nutrients intake standards, as the group ingested more sodium, the ratio of less-than-average requirement intakers was meaningfully low(p<0.01). Particularly, in less-than-2,000mg sodium intake group, the ratio of less-than-average requirement intakers was the highest in calcium(93.9%), vitamin A, vitamin C, energy, and niacin in sequence. Sixth, the analysis of the amount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dium intake of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amount of vegetable food was 1,090.95g, consisting of grains(p<0.001), carbohydrate(p<0.05), vegetables(p<0.001), seaweed(p<0.01), fat and oils(p<0.01), condiment(p<0.001) and the animal food was 358.49g, consisting of meat(p<0.01), fish and shellfish(p<0.001), and eggs(p<0.001). Energy intake by food groups increased in the order of grains(p<0.001), fat and oils(p<0.001), vegetables(p<0.001), condiment(p<0.001), seaweed(p<0.01), meat(p<0.01), fish and shellfish (p<0.001), and eggs(p<0.001). Seventh, the analysis of the amount of sodium intake by the levels of sodium intake showed that the amount of sodium through vegetable food was 3,043mg, in the order of condiment(p<0.001), grains(p<0.001), vegetables(p<0.001), and seaweed(p<0.01), and the amount of sodium intake through animal food was 632.09mg in the order of fish and shellfish(p<0.01), meat(p<0.01), eggs(p<0.001), and milk and dairy products. But in less-than-2,000mg sodium intake group, they ingest sodium through vegetable food in the order of condiment, vegetables, grains and through animal food in the order of meat, fish and shellfish, milk and dairy products, and eggs. Eighth, NAR by levels of sodium intake of the subjects was less than 1, which was deficient in relation to the recommended dietary intake. NAR was the highest in over-4,000mg group and the lowest in less-than-2,000mg group. As the level of sodium intake got lower, MAR was lower in the nutrient quality(p<0.001). INQ was more than 1 except in calcium, which means that quality of the meal was good.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dietary behavior and state of the nutrients intake vary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dium intake in male adults in Jeju, so nutrition guidance plan for excessive intake of nutrient considering their levels of sodium intake is needed for each level group. As less-than-2,000mg sodium intake group have quality nutrients on the nutrient qualitative index, we need to set up new guidance plan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nutrients intake in the same food group for them to meet nutrition standards. Second, new plan to reduce the food groups containing sodium needs to be established and then education and public activities for the plan should be implemented.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tate of nutrient intake by levels of sodium intake, we need to set up new nutrient guidance plan to increase whole rice and whole wheat devoid sodium in whole grains food, to try to spread low salt recipes in fish and shellfish food, and to try to spread low salt vegetable food and to increase the intake of raw vegetables and raw fruits for reducing sodium and increasing vitamin C in the vegetable group. Besides, guidance plan for dairy products should be set up to meet the recommended intake of calcium, which is especially deficient in male adults.
Author(s)
梁淸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85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96
Alternative Author(s)
Yang, Chung 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차인석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Ⅲ
국문요약 Ⅳ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성인남성의 식생활 및 나트륨 섭취실태 3
2. 제주지역의 나트륨 섭취실태 5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조사대상 및 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1) 일반사항 및 신체적 특성 7
2) 식품섭취조사 8
3) 나트륨 섭취 수준 8
4) 식행동 8
5) 영양소 섭취 상태 9
6) 식사의 질 10
3.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11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신체적 특성 1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2
2) 조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14
2. 조사대상자의 나트륨 섭취 수준 15
1) 일반사항에 따른 나트륨 섭취 수준 15
2) 신체적 특성에 따른 나트륨 섭취 수준 17
3. 조사대상자의 식행동 18
1)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식사 빈도 18
2)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동반식사 여부 및 대상 19
3)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저녁식사 시간 및 가정조리음식 섭취빈도 20
4)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가정조리 외 음식 섭취빈도 21
5)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음주 섭취빈도 및 섭취량 23

4.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 25
1)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25
2)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주요영양소 에너지 구성 비율 27
3)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섭취 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비율 29
4)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섭취 기준 대비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 비율 31
5)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비율 33
6)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식품군별 나트륨 섭취량 35

5. 조사대상자의 식사의 질 41
1)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 및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 (MAR) 41
2)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소 질적 지수 (INQ) 43

Ⅴ. 결론 및 제언 45

Ⅵ. 참고문헌 51
Abstract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梁淸善. (2019). 제주지역 성인 남성의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실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