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ediating Effect of Recover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간의 관 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400명이며, 본 연구를 위해 사 용한 측정도구는 취업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적응 검사, 회복탄력성 검사로 신 뢰도 .87∼.92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L 25.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 ii - 이 있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으며, 회복탄력성이 높 을수록 대학 생활적응은 높다. 따라서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완충요인으 로 회복탄력성을 높여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 키고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취업스트 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를 완화 시켜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회복탄력성 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회복탄력성이 영향 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높더라 도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다면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로 심리적 불편감이 줄어들어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what are the sub-factors (control, positivity, sociality)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the employment stress test, college life adaptation test, and resilience test, with a reliability of .87 to .92.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L 25.0.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mployment stress, the low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increase resilience as a buffering factor to alleviate employment stress, which is expected to reduce employment stress and help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employment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employment skills, the low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tion to life in colleg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alleviate employment stress. Third,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positiv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explain that resilience affects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even if college students have high employment stress, if the individual's resilience is high, psychological discomfort will be reduced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future, allowing them to experience an adaptive college life.
Author(s)
강수양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64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09
Alternative Author(s)
Kang, Su Y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연구모형 8
4.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취업스트레스 10
가. 스트레스 개념 10
나. 취업스트레스 12
2. 대학생활 적응 15
가. 적응의 개념 15
나. 대학생활 적응 16
3. 회복탄력성 19
가. 회복탄력성 개념 19
나.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 20
4. 각 변인과의 관계 23
가.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22
나.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24
다. 대학 생활적응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25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30
가. 취업스트레스 척도 30
나. 대학생활적응 척도 31- iv -
다. 회복탄력성 척도 31
라. 측정 도구의 신뢰도 분석 결과 33
3. 자료처리 및 분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6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8
가. 취업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회복탄력성간의 상관관계 38
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39
다. 취업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40
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41
3.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42
3.1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43
3.2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45
Ⅴ. 논의 및 제언 51
Ⅵ. 참고문헌 56
Abstract 66
부록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수양. (202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