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악 영역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n Gukak Section With Reference to Middle School Textbook : Us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usic Textbook
Abstract
국악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 음악과 최근 들어 나타난 한국적 창작 음악까지를 모두 일컫는다. 서구의 음악과는 다른 형성 배경이나 학문 체계를 지니고 있는 우리 고유의 음악인 국악은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을 함께 하면서 온갖 시련의 역사 속에서 이어져 온 값진 예술이다.
우리나라 음악은 일제 강점기시대의 민족문화말살정책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다루 어지지 못하였고 그 후로 약 50년 동안 서양음악 위주의 교육으로 인하여 발달하지 못하고 침체되어 왔으며, 서양 음악과 대중음악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고 쉽게 접할 수 없어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국악교육은 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학교 교육 내에서 국악교육은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잠재 력을 일깨워주고 역사적 가치와 자주성 확립을 위해 민족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바르게 인식하는데 국악 교육의 필요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18년 3월부터 사용되는 중학교 교과서 14종 중에서 7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국악 영역이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전체 악곡에서 국악곡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국악 제재곡을 장르에 따라 전통 음악과 창작 음악으로 나누어 기악곡과 성악곡 및 전래 동요 등으로 세부 분류 하였다. 국악 제재곡 분석을 바탕으로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곡을 음악과 내용 영역(표현, 감상, 생활화)으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선정된 7종의 교과서는 국악 제재곡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 동아, ㈜지학사, ㈜음악과 생활, ㈜미래엔, ㈜비상교육, (주)성안당, ㈜교학사 출판사 순서로 서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7종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제재곡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교육과정 7종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수록된 국악 제재곡은 출판사마다 차이를 보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은 총 505곡이었으며, 이 중에서 국악은 179 곡으로 평균 25.5곡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7종 음악 교과서에 국악곡이 23~30곡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을 장르별로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전통 기악곡 4.8곡, 창작 기악곡 1.4곡, 전통 성악곡 14.5곡, 창작 성악곡 4.1곡, 전래 동요는 0.57 곡이 수록되어 있었고, 내용 영역별 분석에서는 표현 영역이 20.7곡, 감상 9.7곡, 생활화 영역에서는 1곡이 수록되어 있었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7종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의 비중은 평균 35.5%가 제시되고 있다. 각 출판사의 제재곡을 분석해 보면 전통 성악곡에 편중되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최대 15곡의 차이를 보였다. 내용 영역별 비율에서는 표현 영역에 비해 생활화 영역의 비중이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고 영역별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음악을 바르게 이해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국악 교육을 통해 민족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정체성을 일깨워주며 정서적인 측면 또한 발달시켜주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국악을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과정과 교과서 내 국악영역의 양적 증가가 필요하며 균형적인 내용제시가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이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악 교육의 방향과 이후 개정될 교육과정의 국악 영역의 교육 내용을 결정 하는데 있어 활용되어지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 적인 국악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도움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raditional Korean music, also known as Gukak, refers to a style of music, including from the music passed on from ancient times to creative Korean music that recently emerged. Gukak,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has different background of formation and academic system from those of the Western music, is priceless art that followed on the joys and sorrows of Korean people through history. Korean music has been repressed and has gone through a downturn due to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nation. The plan to annihilate Korean culture and heritage by Japanese Imperialism in colonial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50 years of Western music-based education after the independence has led this further on. Since Gukak is less known and hard to be familiarized than the Western music and Pop music, Gukak education for adolescence is mostly conducted in classrooms. Gukak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perceive their potential and to properly understand national pride and identity, contributing to the students' recognition of historical value of Gukak and sense of independenc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 Gukak sections are appropriately contained in 7 selected types among 14 that are being used since March 2018, the ratio of the number of Gukak among the total number of music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pertories in the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music and creative music. The repertories were again classified further into the genres of traditional vocal music,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creative instrumental music, creative vocal music, and traditional nursery rhyme. The selected 7 types were those published by: Dong-A, Co., Ltd.; Jihak, Co., Ltd.; Music & Life, Co., Ltd.; Mirae N, Co., Ltd.; Visang, Co., Ltd.; Seongahndang (BM), Co., Ltd.; and Kyohak Co., Ltd., as listed in the order of largest number of repertories in their textbooks. The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7 type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is as shown below. The repertories within the 7 type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different among the publishers. On average, the total number of repertories in a textbook was 505. Gukak repertories took up 179, or 25.5%. This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Gukak contained in the 7 types of music textbook is 23 to 30 on average. The genres contained were: 4.8 traditional instrumental; 1.4 creative instrumental; 14.5 traditional vocal; 4.1 creative vocal; and 0.57 traditional nursery rhyme. In the classification using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a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20.7 pieces for the expression area; 9.7 pieces for the appreciation area; and 1 daily life area on average. The result showed that Gukak took up on average 35.5% in the 7 types of music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the rates differed among the publishers. Repertories were also differently distributed, with the largest portion concentrated in the traditional vocal music.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repertories between different textbooks was 15. In the distribution among the different content areas, the daily life area was hardly bare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re is an imbalance between the different content areas. To help students properly understand and to preserve traditional Korean music, school education is of supreme importance. Since Gukak education is important in evoking the national identity by experiencing the national culture of Korea and developing the emotional aspect,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in Gukak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re necessary. Also, the improvement can take effect only when there is a balance in the content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e used to adopt the education content of Gukak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the coming revision of curriculum, and that it helps propose the fundamental data for more effective Gukak education.
Author(s)
오은효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97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13
Alternative Author(s)
Oh, Eun Hy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Advisor
정주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3. 연구의 제한점 3
4. 선행 연구의 고찰 3
Ⅱ. 이론적 배경 5
1. 국악의 정의와 국악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5
2. 교육 과정에 따른 국악 교육의 변천사 7
3.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10
4.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11
Ⅲ.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 분석 17
1.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교과서 분석 방법 17
2. 2015 개정 교육과정 7종 음악 교과서의 국악 영역 분석 18
3. 7종의 음악교과서 분석 결과 40
Ⅳ.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ABSTRACT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은효. (2019).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악 영역 분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