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역사영역에 나타난 '우리'의 쓰임과 학생들의 인식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s of 'Wuri(W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Abstract
개인들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공동체를 유지한다. 개인이 사회의 중요한 인자이지만 공동체의 가치를 우위에 두어 개인의 가치가 쉽게 존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역사교육을 할 때 우리를 강조하며 국가공동체나 민족공동체를 중시하는 경향이 그러한 예이다. 역사교과서가 단일한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하기에 유용한 기제이므로,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우리'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과서 역사영역에 서술된 '우리'의 용법을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이 '우리'를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역사교육에서 우리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 알아보았다.
사회과 교과서 역사영역에 서술된 '우리'의 의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에는 여러 사람들을 가리키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의 의미가 나타났다. 하지만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내집단'의 의미도 많이 나타났다. 둘째, '친밀감'의 의미가 가장 적게 나왔는데 객관적으로 교과서를 서술하려고 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친밀감'의 의미는 배제될 수밖에 없다. 셋째, '서열 관계' 용법과 '공손어' 용법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에 의해 꾸밈을 받는 대상과 화자의 서열이 드러나는 경우에 '서열 관계'로 쓰이는데, 교과서에 서술된 '우리'에 포함된 구성원들 간 서열 관계는 잘 드러나지 않았다. '공손어' 용법은 '내' 것이라고 말할 권리가 있음에도 '우리'라고 하는 경우, '우리'에 화자를 포함시켜서 공손함을 표현하는 경우이다. 역사는 여러 사람들의 것이므로 '내' 것을 말할 권리 자체가 주어지지 않으며, 교과서 저자가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면서 공손함을 표현하는 상황이 드물기 때문에 '공손어' 용법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우리'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우리'에 대해 여러 사람들을 가리키는 '1인칭 복수 대명사'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우리'에 대해 집단 구성원들 간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내집단'의 의미와 집단을 배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외집단'의 의미를 인식하였다. 셋째, '친밀감'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는데, 문장의 구성을 바탕으로 '친밀감'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대표 강조'의 의미를 인식하지 않았는데, '우리'에 다양한 집단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와 '그들'의 경계를 넘어선 다양한 '우리'를 생각해야 한다. 역사교육은 '우리', '나', '민족'이라는 초역사적 실체를 선험적으로 상정하여 '그들'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것들을 배제시켰다. 따라서 역사의 주체를 '우리'로 설정할 때 역사교육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집단을 생각해야 한다. 둘째, 역사적 사건과 대상에 대한 학생들의 친밀감과 익숙함을 역사교육을 할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학생들에게 역사적 내용을 친밀하게 느끼도록 제시할 경우 자칫 그 내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하는 기회를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 역사영역에 나타난 '우리'의 의미를 파악하고, 초등학생들의 '우리'에 대한 인식을 밝힌 후 역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가 교사들과 학생들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용어에 민감성을 갖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usage of 'Wuri(We)' in the history sec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xplore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Wuri(We)' to learn how to approach 'Wuri(We)'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The anaylsis results of 'Wuri(We)' in the history sec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Wuri(We)' not only has the meaning of 'first-person plural pronouns' referring to several people but also has the meaning of 'in-group', which gives a feeling of bonding and belonging. Second, the usage of 'Wuri(We)' to mean 'intimacy' was observed the least because the history textbooks explain historical facts objectively. Third, the usage of 'Wuri(We)' to mean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polite language' was not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meaning of 'Wuri(We)' as 'first-person plural pronouns'. Second, they recognized that 'Wuri(We)' has both the meaning of 'in-group', which made the students feel a sense of bonding and belonging, and the meaning of 'out-group', which was to express exclusion. Third, the meaning of 'intimacy' was recognized depending on whether they feel a sense of intimacy with the object determined by 'Wuri(We)' in the sentence. Fourth,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the meaning of 'representative emphasize' because they thought that 'Wuri(We)' included various groups. The implication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think of various 'Wuri(We)'. History education presupposes the transhistorical substance of 'Wuri(We)', 'Na(I)', and 'nation' a priori and excludes others. Thus, when setting the subject of history as 'Wuri(W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various groups that have not been covered in history education can also be involved. Secon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to approach students' intimacy and familiarity with historical events and objects when teaching history. This is because, if the historical content is presented to students to feel intimately, the opportunity to critically look at the content may be eliminate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uri(We)' in the history sec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s, reveal the perception of 'Wuri(W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take. I hope that such an attempt will help teachers and students to become sensitive to terms appearing in social studies textbooks.
Author(s)
모주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98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24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과교육전공
Advisor
류현종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3. 연구 윤리 확보 6
4. 선행 연구 검토 6
Ⅱ. 이론적 배경 8
1. 1인칭 복수 대명사 '우리' 8
2. '우리'의 다양한 용법 10
Ⅲ. 교과서에 나타난 '우리'의 쓰임 18
1. 교과서 빈도 분석 18
2. 교과서 의미 분석 24
Ⅳ. 초등학생들의 '우리' 인식 52
1. 연구 참여자 선정과 자료 수집․분석 52
2. 빈도 분석 결과 55
3. 의미 연결망 분석 결과 56
Ⅴ. 논의: 교과서 분석 및 학생 인식이 주는 시사점 70
1. '우리'와 '그들'을 넘어선 다양한 '우리' 70
2. 친밀한 '우리'의 조건 72
Ⅵ. 결론 76
참고 문헌 79
ABSTRACT 83
부 록 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모주현. (2021).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역사영역에 나타난 '우리'의 쓰임과 학생들의 인식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