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on Effects of Sexual Assertiveness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관계에서 원치 않는 성행동 거부, 성행동 인식, 성욕구 인정·표현을 포함하는 성적자기주장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 형식의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고, 본조사에서는 대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들의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적자기주장에 대해서는 성별과 파트너 기준(실제 파트너, 가상적인 파트너)에 따른 각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배치 분산분석과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적자기주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적자기 주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성적자기주장이 낮아지고, 성적자기주장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on과 Kenny(1896)에 의해 제안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3단계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 도에 미치는 영향은 2단계에서 보다 낮게 나타났다. 즉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 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적자기주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적자기 주장의 하위요인인 원치 않는 성행동 거부, 성행동 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성적자기주장의 하위요인인 성욕구 인정·표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적자기주장에 대해 어떤 파트너를 대상으로 설문보고를 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설문에서 실제 파트너, 가상의 파트너로 구분하였고, 성별과 파트너 기준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성별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파트너 기준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가상적인 파트너는 남자와 여자 간에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실제 파트너는 남자보다 여자가 성적자기주장이 낮게 나타났 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관계에서 성적자기주장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성적자기주장은 낮아지고 이로 인해 데이트폭력 허용도는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 한다. 성적자기주장의 각 하위요인별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결과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과 관련된 내용 중 원치 않는 성행동 거부, 성행동 인식 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성역할 고정관념은 성욕구 인정· 표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적자기주장은 데이트폭력을 줄일 수 있는 중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해 대학생들을 위한 성적자기주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적자기주장 프로그램은 데이트 관계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시킬 수 있고 상대방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성별에 대한 편견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트폭력에 예방적 개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트를 희망하는 대학 생들에게 연애코칭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성적자기주장을 포함한 의사소통기술과 데이트폭력 관련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 자료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프로그램 등을 통해 성적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초자료 마련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대학내 교양 과목에 데이트 관계, 대인 관계 기술 향상을 위한 과정이 개설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assertiveness on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stereotypes of college students on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In addition, I trie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unwanted sexual behavior rejection, sexual behavior perception, sex appeal, and expression, which are the sub - variables of sexual assertiveness. For the purpose of study, I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interview with 7 college students, and then a self - 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453 college students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o verify validity. In order to verify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partner criteria (actual and virtual partner) on sexual assertiveness, I conducted the Two-way ANOVA. Th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xual assertion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exual assertiveness ha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he higher the gender role stereotypes, the lower the sexual assertiveness, and the sexual assertiveness affects negatively o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896)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was lower in the third stage than in the second stage. That summarizes that the sexual assertiveness was verified as a partner mediation in the rela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s to dating violence accept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stereotypes to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he sub-factors of sexual assertions (unwanted sexual behavior rejection and sexual behavior recognition)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However, the subordinate factor of sexual assertiveness, sexual attitude recognition and expression, were not significant. Third, I analyzed what kind of partner I had in mind when participants were answering questions that corresponded to sexual assertiveness. Actual partner, and virtual partner,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effect by gender and partner. The main effect of gender was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of partner criteria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virtual partner,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as not significant, while the - 61 - actual partner showed lower sexual assertiveness than fem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sexual assertivenes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The higher the gender stereotype, the lower the sexual assertiveness, which means that the acceptability of dating violence can be increas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each sub - factor of sexual assertion, gender role stereotype has negatively correlated nega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wanted sexual behavior refusal and sexual behavior perception. However, gender stereoty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xu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sexual assertiveness can act as a mediator to reduce dating viol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xual assertiveness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prevent dating violence. Sexual assertiveness programs are needed to improve dating relationships. If the program is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include basic communication skills and opportunities to resolve gender stereotypes based on respect for the other part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date coach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dat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ventative intervention in dating violence through counseling.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sexual assertion in counseling interventions. This research data will help to prepare a basic data for group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that will improve sexual assertiveness
Author(s)
강지영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059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31
Alternative Author(s)
Kang, Ji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ⅰ
목차 ⅳ
표 목차 ⅵ
그림 목차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9
3. 연구모형 10
4. 용어의 정의 11
Ⅱ. 이론적 배경 12
1. 성역할 고정관념 12
가. 성역할 고정관념의 개념 12
나.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허용도의 관계 12
2. 데이트폭력허용도 13
가. 데이트폭력의 개념 13
나. 데이트폭력과 폭력허용도 15
3. 성적자기주장 17
가. 성적자기주장의 개념 17
나. 성적자기주장과 데이트폭력허용도 19
4.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데이트폭력허용도, 성적자기주장 간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가. 예비 조사 22
나. 본 조사 23
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3
2. 측정 도구 25
가. 성역할 고정관념 척도 25
나. 데이트폭력 허용도 척도 25
다. 성적자기주장 척도 26
3. 자료처리 및 분석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1.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 및 표준편차 31
2. 성적자기주장의 파트너 기준에 따른 차이 32
3.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5
4. 연구결과 37
Ⅴ. 논의 및 제언 46
1. 논의 46
2. 제언 48
참고문헌 52
Abstract 59
부록(설문지)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지영. (2019).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