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에 위치한 22개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남녀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48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사후층화단계를 거쳐 40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감정노동척도(총 10문항, 5점 Likert), 마음 챙김척도(총 20문항, 5점 Likert)와 소진척도(총 22문항,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 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감정노동의 하위요소로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각 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행동, 마음챙김, 소진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표면행동은 마음챙김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마음챙김은 소진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표면행동과소진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내면행동과 마음챙김, 소진간의 관계에서 내면 행동은 마음챙김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마음챙김은 소진과 부적상관을 보였지만 내면행동과 소진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내면행동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표면행동이 소진에 정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마음챙김이 부분 매개하여 소진을 줄이는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면행동이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에 정적인 방향으로 끼치는 경로에서 마음챙김이 완전 매개하여 소진을 줄이는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감정노동의 하위 요소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의 영향을 밝히고, 표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한다는 것과 내면행동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면행동이 낮을수록 소진이 낮아질 뿐 만 아니라 마음챙김을 높이는 경우에도 소진이 낮출 수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면행동이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내면 행동이 낮을수록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을 낮아질 뿐 아니라 마음챙김을 높이는 경우에도 정서적 고갈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교에서 초등교사의 마음챙김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적·교육적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음챙김이라는 심리치료기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초등교사의 소진, 정서적인 고갈을 줄이거나 예방하여 소진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도 함께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For this purpose, 460 teachers working in 22 elementary schools in Jeju area were surveyed. A total of 448 copies were collected. Of these, 401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the post stratification stage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which was not responded to or answered unfairly. The research tools were the emotional labor scale(total 10 questions, 5 point Likert), the mindfulness scale(total 20 questions, 5 point Likert)and the burnout scale (total 22 questions, 5 Point Like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In addition, a 3-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effects of surface and deeping acting on the burnout as sub-elements of emotional labor. Sobel test was used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rface acting, mindfulness, and burnout. The surface act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nd mindful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urface acting and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deeping act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nd mindfulness had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eping acting and burnout. However, emotional deple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eping acting and burnout. Third, it was shown that the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indirect effect of reducing the burnout in the path where the surface acting directly affects the burnout in the static direc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deeping acting has a indirect effect of reducing burnout by complete mediation of mindfulness in the path of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burnout, in a static di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surface and deeping acting, which are sub - elements of emotional labor, on the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meaningful that I have empirically verified that mindfulness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of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ower the surface acting, the lower the burnout and also the lower the burnout even if the mindfulness is increased. In addition, although deeping acting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lower deeping acting means lower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a sub-factor of burnout, and lower emotional exhaustion, even if mindfulness is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mindful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s. If the psychotherapy system called mindfulness is actively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burnout will be reduced as well by reducing or preventing emotional deple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hor(s)
이희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084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36
Alternative Author(s)
Lee, Hee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감정노동 7
가. 감정노동의 개념 7
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8
다.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8
2. 소진 10
가. 소진(burnout)의 개념 10
나. 소진의 하위요인 10
다. 초등교사의 소진 11
3. 마음챙김 12
가. 마음챙김의 개념 12
나. 초등교사의 마음챙김 13
4.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 14
가. 감정노동과 소진 14
나. 마음챙김과 소진 15
다. 마음챙김과 감정노동 16
라. 감정노동과 소진 및 마음챙김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연구절차 21
3. 연구도구 23
4. 자료분석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1.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 및 표준편차 28
2. 표면행동, 내면행동과 마음챙김, 소진의 상관관계 29
3. 표면행동, 내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31
Ⅴ. 논의 및 제언 37
1. 논의 37
2. 제언 43
참고문헌 45
Abstract 59
부록목차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희진. (2019).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