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장 내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장 내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의사 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 직의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 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인관계,직무만족도,의사소통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가설 1.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의사소통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 2.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매개 효과가 있 는가? 가설 2.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매개효과가 있 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내 172개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 383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대인관계,직무만족도,의사소통능력 척도이다. 수 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의사소통능력 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의사소통능력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대인관계의 6개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신뢰감,친근감,개방성 요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민감성과 이해성 요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어 가 설이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직장인의 대인관계 적응과 능력 향상을 위한 개인 및 조직 수준의 효과적 개입이 필요하며,또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할 때 의사소통능력을 높여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의 사소통능력 이 대 인관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에서 의 미있는 매 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살펴봄으로써,직장인들이 직장생활에 만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의 사소통능력에 대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ignificant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I build up following hypothesis for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ve ability? Hypothesis 1.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ve skill must have positive correlation. Research question 2. Does communication ability ha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Hypothesis 2. Communication ability must ha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83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of Jeju`s public schools. The measurement for this research is standard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ve ability. The information collected is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at standard, I applied standard of computation called cronbach`s α. The results of my research are like thes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ose factors, I can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at the level of p<01. In short, the bett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the better the job satisfaction is and the higher the communicative ability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6 subfactors of communicative abilities, in the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6 subfactors and job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confidence, friendliness, and openness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have full mediation effect. Therefore, this hypothesis is supported. Therefore, I want to say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ese. Individual or organized involvements are needed to improve official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So, in the case of practicing improvement programs, education programs able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must be practiced as well. By searching that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meaningfu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show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it can provide theoretical basic data about communication ability of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and it wil help them get satisfied with their work.
Author(s)
박정선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158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50
Alternative Author(s)
Park, Jung 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I .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모형 4
4. 용어의 정의 5
n. 이론적 배경 7
1. 대인관계 . 7
2. 직무만족 11
3. 의사소통능력 14
m.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및 절차 19
2. 연구도구 20
3. 자료처리 및 분석 21
IV. 연구결과 및 해석 2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2. 배경변인에 따른 변인들의 검증 25
3. 변인에 대한 인식 및 변인간의 상관관계 . 30
4.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32
V. 논의 및 제언 . 44
1. 논의 44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3
설문지 .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정선. (2019). 교육행정직공무원의 직장 내 대인관계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