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창의·융합 문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Focused on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Abstract
수학과 교육과정의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창의·융합 역량과 관련된 수업 설계, 교수 학습자료 개발과 수업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 다. 즉,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융합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문제들을 분석하여 추후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수 업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의 창의·융합 문제에서 창의·융합 역량 의 하위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첫째 연구 문제에서 분석한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 중 수학 외적 연결 및 융합에서 수학 과 타 교과와의 연결을 분석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을 연구자 임의로 선택하여 창의·융합 문제를 창의 또는 창의·융합을 명시한 문제, 수학과 다른 과목이나 다른 영역을 같이 표시한 문제로 설정하여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와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을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 기준이 되 는 창의·융합의 하위요소는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수학 내적 연결, 수학 외적 연결 및 융합 으로 6개의 하위요소를 설정하였고 타 교과는 국어, 사회(역사포함)/도덕,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의 5개의 교과군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5종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총 89개의 창의·융합 문제를 분석한 결과 창의·융합의 하위요소 중 수학 외적 연결 및 융합이 약 89.9%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정교성, 독창성이 나타나며 융통성이 약 9%, 유창성이 약 6.7%로 상대적으로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 중 수학 외적 연결 및 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창의· 융합 역량을 신장시키고 수학적 흥미와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생활 주변이나 타 교과와 연결한 문 제를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아이디어나 해결 방법을 산출하게 하는 문제보다는 기존의 아이디어나 이전에 배운 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수학적 지식을 다듬거나 정 리하는 문제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유창성보다는 정교성이 반영된 문제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5종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의 창의·융합 문제에서 총 49회의 수학과 타 교과의 연결이 나타났으며 과학/기술·가정/정보 교과군과 연결된 문제가 약 36.7%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예술(음악/ 미술), 사회(역사포함)/도덕 교과군과 연결되었으며 국어 교과군이 약 8.2%, 체육 교과군이 약 4%로 상대적으로 적게 연결되어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를 고르고 균형있게 포함한 창의·융합 문제의 구성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 신장을 위해 특정한 요소에 치중되지 않고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를 고 르게 포함한 창의·융합 문제의 개발과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수학과 연결되는 타 교과를 다양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다양하게 사고하고 여 러 가지 교과에서 수학과 연결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타 교과와 연결한 창의·융합 문제의 균형 있는 개발과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창의·융합 문제를 재구성하고 적용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맞는 창의·융합 문제를 재구성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re reflected in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in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lesson design related to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applica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roblems in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with new curriculum applied will be analyzed in support of lesson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future. The research subject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in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of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be analyzed. Second,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analyzed in the first research subject,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in external connection and convergence of mathematics will be analyzed. From this research, five types of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ion were randomly selected by the researcher to set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as creative or creative and convergence indicated problems or problems in which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or other areas were displayed together. Then,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as well as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were analyzed. As for the analysis criterions, six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were set: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sophistication, internal connection of mathematics, external connection and convergence of mathematics. Furthermore, as for the other subjects, five different subjects were selected: Korean, Society(History included)/Morality, Science/Technology and Home/Information, Physical Education, and Arts(Music/Art).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89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in the five kinds of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the external mathematic connection and convergence from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were the most at about 89.9%, followed by sophistication, originality were displayed, flexibility was about 9%, and fluency was about 6.7%, which was relatively low. Second, it seems the reason why external mathematical connections and convergence of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31nvergence competencies were most often seen was to extend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and to expand their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s by forming problems connected to life around and other subjec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a problem, it was not a problem that caused many ideas and solutions to be calculated, but there were more problems on traditional ideas and previously learned mathematics knowledge to be used to brush up and organize mathematical knowledge. Thus, there were relatively many problems reflecting on sophistication rather than fluency. Third,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of the five kinds of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showed a total of 49 connections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36.7% of problems were showed connected to Science/Technology and Home/Information. Next was connected to Arts(Music/Art) and Society(History included)/Moralty, followed by Korean to 8.2% and Physical Education was about 4%, which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give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 by selecting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and including them in a good balance. There is also a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 that evenly includes the sub-elements of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that do not focus on specific elements for the students'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improv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osite other subjects with connection to mathematics in various way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think diversely and to connect with mathematics in various subjects, a well-balanced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is required. Third, the efforts of teachers to reconstruct and apply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 are necessary. Teach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reconstruct a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 that suits them and apply to the lesson in order to develop their creative and convergence abilities
Author(s)
오석보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499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79
Alternative Author(s)
Oh, Seok B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Advisor
최병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2015 개정 교육과정 4
2. 수학적 창의성 4
3. 수학적 연결성 6
Ⅲ. 연구방법 8
1. 분석대상 8
2. 분석기준 10
1)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 10
2)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11
3) 창의융합 문제 분석 예시 12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6
1. 창의융합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16
1) 교과서 A의 창의융합 문제 분석 17
2) 교과서 B의 창의융합 문제 분석 17
3) 교과서 C의 창의융합 문제 분석 18
4) 교과서 D의 창의융합 문제 분석 19
5) 교과서 E의 창의융합 문제 분석 20
2.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1
1) 교과서 A의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1
2) 교과서 B의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2
3) 교과서 C의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3
4) 교과서 D의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4
5) 교과서 E의 수학과 타 교과와의 연결 분석 24
Ⅴ. 결론 및 제언 26
참고문헌 28
Abstract 3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석보.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창의·융합 문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athemat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