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15 개정 교육과정 특성화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요청 화행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eech Act of Requests in Vocational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요청화행의 유형과 사용빈도를 비교, 분석하여 특성화고의 영어 교과서가 영어 원어민이 실제 사용하는 요청화행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아울러 각 교과서마다 요청화행 유형의 특징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떤 교수방법들이 마련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따라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실제적인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이끄는 영어교재를 위한 화행 분석과 화행 교수방법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과서는 영어과 핵심역량인 의사소통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개이며 화행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중 하나이다. 교과서의 담화 지문들을 분석하는 화행에 관한 연구는 빈번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015 개정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한 화행 연구는 현재까지 심도있게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특성화고 학생들이 글로벌 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영어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교과서에 드러난 요청화행을 분석하는 것은 의사소통 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 5종의 전체 대화문에서 요청화행을 발췌해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과 사용빈도를 분석했다.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특성화고가 중등직업교육 강화의 일환으로 ‘학생의 글로벌 마인드와 실재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Trosborg(1995)의 요청화행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교과서 별 요청화행 유형의 분포도와 실제 사용빈도 순위를 정리, 분석했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가 원어민이 실재 사용하는 요청화행 유형을 적절하게 잘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해 교과서의 화행지식 구성의 적절성과 실재성, 더 나아가 바람직한 화행 교수방법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 5종의 교과서 전체 담화 지문에서 요청화행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4.47%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교과서 내에 요청화행을 학습하기에 충분히 노출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영미문화권 원어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요청화행은 Strategy 2. Ability/Willingness/Permission(44.8%)과 Strategy 1. Hints(22.8%) 유형이며 Strategy 6. Obligations와 Strategy 7. Performatives 유형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교과서들 또한 Strategy 2. Ability/Willingness/Permission(27.96%), Strategy 8. Imperatives(21.41%)와 Strategy 1. Hints(16.88%) 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였으며 Strategy 6. Obligations와 Strategy 7. Performatives 유형은 5% 미만의 낮은 비율로 제시되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화고 영어 교과서가 실제 원어민의 요청화행 사용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특성화고에서만 배우는 전문 교과인 관광영어와 비즈니스 영어 교과서가 원어민의 전체 요청화행 유형들 중 70%를 차지하는 Strategy 2. Ability/Willingness/Permission와 Strategy 1. Hints 유형의 영어 표현을 전 요청화행의 50%이상의 비율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제 원어민의 요청화행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의 교육목적인 취업과 연계한 영어 교과서가 학생들이 간접적이고 청자 중심의 요청화행을 주로 사용하는 글로벌한 영어권 취업 현장에서 자연스럽게 요청을 구사하고 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역량을 키워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요청화행과 같은 화행학습이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증진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학생들의 실재적 요청화행 함양을 위한 교수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교사가 수업 시작 전 교재 분석을 하여 교과서에서 부족한 유의미 연습 활동을 추가하고 다양한 요청화행 유형을 포함한 보충 자료들을 준비한다면 학생들의 말하기 역량을 키울 것이라 해석하였다. 또한 교사가 바람직한 언어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역할 놀이를 통해 제한적인 교실 공간을 벗어나 교실 밖의 실제적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모든 학습자가 일대 일로 충분한 연습 기회를 가진다는 점에서 의사소통 역량을 적극적으로 키울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말하기 수행평가를 할 때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평가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통해 평가기준, 방법, 결과를 함께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와 ‘5종’의 영어 교과서만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여 전체 영어 교과서를 대표하여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Trosborg(1995)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는데 그의 연구 결과가 실제 영미 문화권의 요청화행 표본이라고 객관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들은 연구자의 주관적인 분류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를 객관화하고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특성화고 교과서 대화문에 나타난 요청화행을 Trosborg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뒤 영어 원어민의 실재 유형별 사용 분포와 비교, 정리하고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요청화행 교수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연구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기법들에 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실제적인 화행지식을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특성화고 영어 교재를 보완하고 본 연구의 교수방법의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frequency of requests in five different English textbooks. In order to examine the authenticity and effectiveness of English textbooks, speech acts of requests are compared by the criteria of Trosborg’s study(1955).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ive different English textbooks are revealed by comparing the types of speech acts of requests in each textbook. Lastly, this study describes the most effective speech acts of requests teaching method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Unde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mainly aims at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One of the main asp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s pragmatic competence, which influences the ability of successful communication. However, Korean learners in EFL circumstances have few chances of being exposed to pragmatic English usage. In this way, English textbook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rning channels to promote students’ pragmatic competence. Therefore, English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become more authentic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usage and frequency of requests in English textbooks are similar to those in Trosborg’s findings. More indirect requests are shown than direct requests in English textbooks and Trosborg’s research. It means that English textbooks better reflect the usage of requests in English culture. In contrast, some types of direct requests, such as imperatives, are frequently shown in Korean textbooks than thos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addition, five different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w different usage ranks of speech acts of requests based on each textbooks’ objectives. It is suggested that according to each textbook’s aim, English textbook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eet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eech act of requests.
Upon these findings, teachers must understand the lack of actual usage of speech acts of requests in Korean textbooks and offer more authentic speech acts. Therefore, it suggests the way to develop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by complementing activities in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performing speech acts . This will enable students to improve their authentic pragmatic competence in EFL circumstances.
Author(s)
문진아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45
Alternative Author(s)
Moon, Jin 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양창용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방향 3

Ⅱ. 이론적 배경 4
2.1 화행의 정의와 이론 4
2.2 화행의 양식 7
2.3 요청화행 8
2.3.1 요청화행 정의 8
2.3.2 요청화행 분류 10
2.4 선행연구 19

Ⅲ. 연구 방법 22
3.1 연구대상 22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4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26
4.1 요청화행의 기재비율 26
4.2 요청화행 유형별 분류 28
4.3 교과서 별 요청화행 분석 32
4.3.1 「영어Ⅰ」교과서 요청화행 분석 33
4.3.2 「진로영어」교과서 요청화행 분석 34
4.3.3 「실용영어」교과서 요청화행 분석 36
4.3.4 「관광영어」교과서 요청화행 분석 38
4.3.5 「비즈니스영어」교과서 요청화행 분석 42

Ⅴ. 요청화행을 위한 실제 교수법 44
5.1 요청화행 연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4
5.2 요청화행 교육의 실제 방안 45
5.2.1 요청화행 교수를 위한 교재분석 47
5.2.2 요청화행 교수를 위한 학습환경 및 역할놀이 51
5.2.3 요청화행 교수를 위한 평가 58

Ⅵ. 결론 및 제언 65
6.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5
6.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67


참 고 문 헌 69
ABSTRACT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