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자비, 자아탄력성, 우울의 구조적 관계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for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기자비, 자아탄력성,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 각각의 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우울에 실질적으로 개입 및 예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윤리적·과학적 타당성 심의 및 연구대상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제주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IRB 승인 이후 진행되었다. IRB 연구계획서를 근거로 부모애착 척도, 자기자비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전국의 대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 AMOS 20.0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부모애착과 자기자비, 자아탄력성, 우울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변인들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부모애착과 자기자비, 자아탄력성의 경우 각 변인들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우울의 경우 다른 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모든 변인들 간에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졌다. 단,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상관이 부적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자아탄력성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정적으로 나타나 비일관적 매개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한 부트스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은 모두 유의미한 단일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하는 경우의 간접효과는 직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이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을 거쳐 우울로 가는 순차적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부모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단일 매개하는 경우와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부호가 뒤바뀌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를 통해 비일관적 매개효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자기자비와 자아탄력성 등의 매개변인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기자비의 경우 분명하고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자아탄력성의 경우 비일관적 매개효과가 나타나 향후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의 우울완화를 위하여 직접적인 접근과 개입이 어려운 부모애착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자기자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additionally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go-Resil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order to review the ethical and scientific feasibility of the study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was conducted after an IRB was reviewed by the the Bioethics Committee, Jeju National University. Based on the IRB research proposal, questionnaires using Parental Attachment scale, Self-Compassion scale, Ego-Resiliency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organiz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430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Distribution analysis 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In addition,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MOS 20.0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throug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Parental Attachment, Self-Compassion and Ego-Resilien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but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ath coeffici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all variables. However, unlike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depression, the path from ego-resilience to depression was positive, suggesting the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Third, through bootstrapping verification using Process Macro model 6,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Ego-Resil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both Self-Compassion and Ego-Resiliency showed significant single mediating effects. In particular, the indirect effect of Self-Compassio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from Self-Compassion to Ego-Resilienc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when Ego-Resiliency is sing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when Self-Compassion and Ego-Resiliency are mediated sequentially, the sign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re reversed, which confirmed that the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occurred.
In summary,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university students's Parental Attachment has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university students's Parental Attachment has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ng variable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elf-Compassion had a clear an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go-Resiliency, the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appeared,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enhance Self-Compassion rather than focusing on Parental Attachment, which is difficult to directly approach and intervene, in order to reliev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on.
Author(s)
한가인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31
Alternative Author(s)
Han, Ga 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모형 7
4.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부모애착 10
2. 자기자비 12
3. 자아탄력성 15
4. 우울 17
5. 각 변인들과의 관계 19
가. 부모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 19
나. 부모애착과 자기자비 간의 관계 20
다.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21
라. 자기자비와 우울 간의 관계 22
마. 자아탄력성과 우울 간의 관계 24
바. 자비자비와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25
사.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26
아. 부모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7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및 절차 29
2. 측정도구 31
가. 부모애착 척도(IPPA-A) 31
나. 자기자비 척도(K-SCS) 32
다. 자아탄력성 척도(ER) 33
라. 우울 척도(CES-D) 33
3. 자료처리 및 분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7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8
3. 측정모형 검증 40
4. 구조모형 검증 43
5. 매개효과 검증 46
Ⅴ. 논의 및 제언 49
1. 논의 및 결론 49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4
Ⅵ. 참고문헌 57
Abstract 75
부록 78
연구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78
인적사항에 관한 문항 83
부모애착 척도(IPPA-R) 85
자기자비 척도(K-SCS) 87
자아탄력성 척도(ER) 90
우울 척도(CES-D)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한가인. (2023).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자비, 자아탄력성, 우울의 구조적 관계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