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해마를 활용한 기능 특성 및 식품 적합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Food Suitability using Seahorse Cultured in Jeju
Abstract
해마(Hippocampus coronatus)는 큰가시고기목 (Gasterosteiformes)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54종이 알려져 있다. 높은의약 및 치료 건강 가치로 열대 및 아열대 얕은 물에 널리 분포한다. 주요 약리학적 효능에는 성호르몬 유사 효과, 항염증, 항산화, 항종양 및 면역 개선이 포함된다. 현재 기존 해마 연구는 지용성 성분의 분석과 연구에 치중되고 있는 반면,수용성성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해마의 성분을 활용한 식품의개발은 눈에 띄게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양식 해마의 물,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산화, 항염 실험을 통해 기능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식품 개발 및 건강식품 가공에 이용하기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및 폴리페놀함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단백질 농도를 가진 해마 물 추출물의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았으며, 총 페놀함량도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다. 해마 물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LPS를 사용하여 RAW264.7 대식세포를 유도하여염증 모델을 확립했다. NO 분비량과 사이토카인 (TNF-α와 IL-6) 방출량을 실험 지표로 사용했다. 해마의 다른 용매추출물은 0 ~ 1 μg/ml 의 농도에서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모델그룹에 비하여 HW와 HE는 LPS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의 NO분비를 억제할 수 있었다. 사이토카인 실험에서 HE는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를 억제하여 HW보다 다양한농도(100ng/ml, 500ng/ml, 1μg/ml)에서 TNF-α와 IL-6을 분비했다.기존 자료는 HW의 항산화 효과가 HE보다 우수하고 HE가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예비적으로 증명하여 해마관련 건강식품의 후속개발에 대한 근거와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The hippocampus (Hippocampus coronatus) is a fish belonging to theSyngnathidae family of the Greaterosteiformes and about 54 species areknown worldwide. Wide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shallowwaters with high medicinal and therapeutic health value. Its main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e sex hormone-like effects,anti-inflammatory, anti-oxidation, anti-tumor and improving immunity.Recently, research on the hippocampus is limited to the research onfat-soluble components, while the research on water-soluble components isrelatively small.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foods using the ingredientsof the seahorse has not been promoted conspicuously. In this study, waterand ethanol extracts of Jeju cultured hippocampus were prepared, and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antioxidant andanti-inflammatory experiments on RAW cells, and this study wasconducted for use in food development and health food processing.In order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we carried out DPPH, ABTSfree radical scavenging determination and polyphenol content determination.The results showed that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activity of the hippocampal water extract with the same proteinconcentration was about twice higher than that of the ethanol extract, andthe total phenol content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ethanol extract. Itcan be concluded that the antioxidant capacity of hippocampal waterextract is higher than that of ethanol extract.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used LPS to induceRAW264. 7 macrophages to establish an inflammatory model; the amountof NO secretion and the amount of cytokine (TNF-α, IL-6) released asindicators were used for experiments.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hippocampus have no obvious cytotoxicity to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0-1μg/ml. Compared with the modelgroup, HW and HE can inhibit the NOsecretion of macrophages induced by LPS. In the cytokine experiment, HEinhibited LPS-induced RAW264.7 macrophages to secrete TNF-α and IL-6at various concentrations (100ng/ml, 500ng/ml, 1μg/ml) at variousconcentrations of the reagents than HW.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HW is better than thatof HE, and HE has a better anti-inflammatory effect, providing basis andreference for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hippocampal-related healthfood.
Author(s)
서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82
Alternative Author(s)
Xu We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Advisor
박성수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List of Abbreviations Ⅶ
List of Tables Ⅷ
List of Figures Ⅸ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해마 3
2. 항산화와 염증 3
1) 항산화 3
2) 염증 4
Ⅲ. 재료 및 방법 6
1. 시료준비 6
1) 해마의 Etoh추출 및 water추출 6
2. 시료의 기능적 특성 7
1) 단백질 함량 측정 7
2) 항산화 측정 7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7
(2)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8
(3) Total polyphenol 함량 측정 9
3) 항염 측정 9
(1) 세포 배양 9
(2) 새포 생존율 측정 (MTT Assay) 9
(3) Nitric oxide (NO) 생성량 측정 10
(4)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량 측정 10
- TNF-α 생성량 측정 10
- IL-6 생성량 측정 12
3. 통계 분석 13
Ⅳ. 연구결과 14
1. 단백질 함량 측정 14
2. 항산화 측정 17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17
2)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18
3) Total polyphenol 함량 측정 결과 19
3.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26
4.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NO) 생성량 측정 결과 29
5.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생성량 측정 결과 32
1) TNF-α 생성량 측정 결과 33
2) IL-6 생성량 측정 결과 35
Ⅴ. 고찰 37
Ⅵ. 요약 및 결론 39
Ⅶ. 참고문헌 41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위. (2021). 제주해마를 활용한 기능 특성 및 식품 적합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Nutri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