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추출 용매별 제주산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항산화 및 Cutibacterium acnes의 생육저해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Cutibacterium acn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Jeju Litsea japonica J uss extracts by various solvents
Abstract
제주산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추출 용매별 항산화 효과 및 Cutibacterium acnes의생육저해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증류수, 70% 주정 에탄올, 70% 메탄올로 각추출물을 제조하여 외관을 확인하고 수율을 측정했다. 외관의 경우 70% 주정 에탄올과 70%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이 증류수로 추출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70% 주정 에탄올과 70% 메탄올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자색을 띠고 증류수 추출물은 갈색을 띠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 수율은 70% 주정 에탄올과 70%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각 17.44%, 17.49%로 증류수 추출 수율인11.54%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각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고,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 주정 에탄올 추출물이 460.10 mg GAE/g of extract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0% 메탄올 추출물 400.13 mg GAE/g of extract, 증류수 추출물 205.22mg GAE/g of extract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70%메탄올 추출물과 70% 주정 에탄올 추출물이 각 87.73%, 83.00%로 나타났으며증류수 추출물은 비교적 낮은 69.66%로 측정됨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증류수보다는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농성 여드름의 원인으로 알려진 그람 양성균 Cutibacterium acnes(KBN12P02876)에 대한 항균 효과에서는 생육저해 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70%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0.5-1 mg/mL 농도에서 3시간 경과부터 더 이상 증식하지않았으며, 70% 주정 에탄올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6시간 경과 이후에 증식이관찰되지 않았다. 0.25 mg/mL의 농도에서는 70% 주정에탄올과 70% 메탄올의추출물의 경우 9시간 경과 후에 증식이 억제되었다. 증류수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므로 70% 메탄올 추출물이 용매별 추출물 중에서 가장 생육저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결과에서 수율,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전반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70% 주정 에탄올 추출물이 적합한 추출 용매인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산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식품·화장품 산업에서의 고부가가치화 가능성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growthinhibitory effect of fruit extracts of Jeju Litsea japonica Juss. Each extract wasprepared with distilled water, 70% ethanol and 70% methanol to verify itsappearance and measure its extraction yield. In the case of appearance, it wasvisually confirmed that the extracts of 70% ethanol and 70% methanol wererelatively purple and the extracts of distilled water was brown. The extractionyield by 70% ethanol, 70%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was 17.44%, 17.49% and11.54%,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extract of70% ethanol with 460.10 mg GAE/g, followed by the extract of 70% methanolwith 400.13 mg GAE/g and the extract of distilled water with 205.22 mg GAE/g.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87.73% and 83.00% for theextract of 70% methanol and 70% ethanol, respectively, and it was 69.66% forthe extract of distilled water.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ach extractagainst a gram positive bacterium 'Cutibacterium acnes (KBN12P02876)', knownas the cause of purulent pimples, was investigated.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by the extract of 70% methanol and 70% 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0.5-1.0mg/mL, each, was observed in 3 hours and 6 hours of incubation, respectively.At a concentration of 0.25 mg/mL, the extracts of 70% ethanol and 70%methanol showed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in 9 hours of incubation. Theextract of distilled water did not show any antibacterial activity. The 70%methanol extract is thought to have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mong theextracts t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70% ethanol which is a safe solventfor food processing is suggested to be suitable for extraction of fruits of JejuLitsea japonica Juss.
Author(s)
박한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592
Alternative Author(s)
Park, Han Byu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천지연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LIST OF FIGURES 2
LIST OF TABLES 3
1. 서론 4
2. 재료 및 방법
2.1. 재료 8
2.2. 용매별 추출물의 제조 8
2.3. 총 폴리페놀 함량 10
2.4.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0
2.5. 사용균주 및 배양조건 11
2.6.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의 Cutibacterum acnes의 생육저해효과 11
2.7. 통계처리 12
3. 결과 및 고찰
3.1. 외관 13
3.2. 추출 수율 13
3.3. 총 폴리페놀 함량 16
3.4.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0
3.5.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의 Cutibacterum acnes의 생육저해효과 22
4. 결론 27
국문요약 28
참고문헌 2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한별. (2021). 추출 용매별 제주산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항산화 및 Cutibacterium acnes의 생육저해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