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Close Reading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질문 개선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for Improving Text-Dependent Quest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Close Reading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8학년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실시되면서 학생 중심의 수업, 과업중심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반면 이러한 수업은 흥미위주의 과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고은미, 유원호(2016)는 상급 영어능력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신의 연구에서 과업중심 교수법이 학습에 비효율적이라고 인식하는 학습자들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현 교육과정이 학생중심 수업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영어읽기 수업에서는 여전히 교사 혹은 학생이 지문을 한 줄씩 읽고 해석하는 전통적인 교수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연구사례에서 찾아 볼 수 있다(이유진 2009, 허예은 2015, 신충성 2015). 이러한 연구들은 중고등학교 읽기 분야에 있어 학구적인 성격을 가진 학생중심 교수법의 필요성을 암시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수법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Close Reading을 적용하는 질문/과업 중심 교수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Close Reading 에서 학생들은 같은 읽기 지문을 여러 차시에 걸쳐 반복해서 읽으며, 수업에서는 읽기 지문내용에 관한 질문들이 주어지는데 차시가 진행됨에 따라 질문들은 글에 대한 사실적 이해를 묻는 것에서 점차 깊은 해석적 이해를 묻는 것으로 옮겨가며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학생들은 각 차시마다 주어지는 질문들을 그룹 토의를 통해 해결하고, 그 후 교사와 반 전체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여 서로의 답을 비교하고 토의 및 토론을 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처럼 Close reading 교수법은 질문을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키는 과업/질문 중심 교수법이라 할 수 있다. Close Reading에서 질문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어떠한 질문을 할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사항을 살펴보았다. 첫째, 2015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지문에 관련된 질문들을 분석
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Close Reading 교수법에 사용되는 질문 분석 및 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효과적인 질문 및 좋은 질문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최종적으로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영어교과서 읽기 질문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교과서 지문의 내용이해와 관련된 질문의 수는 한 과에 평균 7.25문항으로 4-5페이지에 해당하는 지문의 길이를 고려하면 내용 이해를 돕기에는 턱없이 부족한수였다. 또한, 질문들의 대다수가 해석적 이해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실적 내용이해 만을 묻고 있었으며, 사실적 이해 가운데서도 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보다는 세부사항을 묻는 질문들이 많았다. 이는 학생들이 글에 대한 넓은 시각을 갖기보다는 세부적 정보의 이해에만 집중하도록 할 염려가 있다. 질문의 질적 측면에서 역시 문장의 특정한 부분에 답이 존재하는 단답형(Right There형 질문)과 객관식(빈칸 넣기, 선다형) 질문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학생들이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영어교과서 읽기 영역에서는 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야기하고 고등사고력 향상 기회를 제공하는 질문들이 부족했다. 그 다음으로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Close Reading에서 사용되는 질문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 교수법이 질문을 기반으로 글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고등 인지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만큼, 학생들이 글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들이 구성되어 있었다. 질문들은 글에 대한 사실적 내용이해와 관련된 것들로부터 시작해 글의 외적인 측면, 그 후 깊은 이해를 요하는 해석적 이해로 옮겨가며 깊이를 더해갔다. 표면적 내용 이해에 있어서도 전체적 내용을 먼저 이해 하도록 주제, 요약과 같은 과업을 먼저 제시하고 세부사항을 뒤에 제시하는 등 학생들이 글을 논리적,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구성이 되어있었다. 또한 질문의 질적 측면에서도 도표를 사용한 글 속 정보 분류, 비교-대조, 은유적 표현에 대한 해석, 맥락과 접미사를 활용한 단어 유추와 같이 읽기에서 필요한 여러 전략과 기술들을 중심으로 고등사고력을 돕는 질문들이 제공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Close Reading 질문을 활용하여 한국 영어교과서 읽기 질문들을 개선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해보았다. 교과서에 실린 기존의 질문들을 살펴본 후, 앞서 행해진 Close Reading의 질문연구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대안이 될 수 있는 질문들을 제시하였다. 질문들은 글에 대한 사실적 이해 -> 글의 외적측면에 대한 이해 -> 해석적 이해 순서로 배치하여 글을 체계적, 단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했으며, 전반적 이해, 세부내용 이해 , 단어 유추, 문법, 해석적 이해와 같은 문제 유형을 균형 있게 사용함으로써 글을 다각도에서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국 학생들이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학습자인 점을 고려하여 문법관련 질문을 추가하였고 고등사고력 발달을 고려해 모든 예시 문항을 서술형으로 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Close Reading을 활용한 읽기 질문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Close Reading 은 아직 한국에서는 연구나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학생중심, 과업중심 협동학습이라는 점, 그리고 영어 독해능력 향상과 더불어 고차원적 사고능력 향상을 뒷받침하는 외국논문들이 존재하며 그 대상에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한국의 영어수업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하여 추후 연구로 Close Reading을 실제 학교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와 Close Reading 에 사용되는 지문 활용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new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2015) has been emphasizing on student-centered and task-based learning more than ever. However, this TBL class often ends up with students just having fun, with not
much academic achievement. In fact, according to a study,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ten consider TBL not very helpful for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Strange thing is that while TBL is widely
used in English class, when it comes to teaching reading, traditional method, which is teach-centered and translation-oriented, is still prevalent. Indeed,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fter all those criticisms on it, still i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in reading class according to some investigative studies o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in Korea.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Close Reading as an alternative reading teaching method. Close reading is a teaching method in which students read a text multiple times, each time with text-based questions for them to deal with. Questions are organized in terms of understanding levels, starting from explicit meaning of text to text structure and craft, and then to implicit meaning. As they search for answers to the questions and its evidences,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xt gets deeper. In short, Close Reading is a question-based teach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a) to investigate text-based questions in a Korean English textbook for their variety and quality, (b) to study questions used in Close Reading for effective text-based questions, and (c) to suggest examples of improved questions for Korean
English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ext-based questions in the textbook show that each text has about 7.25 questions, which seems not to be enough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text effectively, concerning the text length of 4-5 page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questions are mostly checking for explicit understanding, details in particular, and not for overall and implicit understanding of the text. Regarding types of questions, most frequently used questions are closed-ended questions such as multiple choice questions, questions which require brief fact based answers or yes/no answers. Those questions do not require much effort to answer; some of them even allow students a 50% chance of
guessing the correct answer. Overall, those questions in the textbook lack good question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text deeply. Regarding the investigation of questions used in Close Reading, the questions are offered in an order that helps students to follow through the text in an "orderly manner". Most of the time, questions start from checking general understanding to details and from literal to figurative meaning. Questions also invite students to use various reading strategies and skills such as categorization of information, compare and contrast, understanding figurative meaning, inferring unfamiliar words using
context clues and affixes, encouraging development of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Lastly, this study suggests a sample alternative reading questions to those in Korean textbook, designed based on close reading methodology. The questions were designed in a way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texts better and deeper by checking literal meaning, text structure & vocabulary, inferential meaning in order.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are EFL learners, questions asking grammar/sentence structure explicitly are added and for the purpose of higher thinking skills, all questions are designed wh- ques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Close Reading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reading class in Korea. Although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Close Reading in Korea, I believe this approach could be a great fit for the teaching method that the new 2015 curriculum is looking for; it is a student-centered discussion class, encouraging students to discover the deep meaning of texts. In terms of future research, I suggest 1) experimental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Close Reading in Korean class and 2) study on texts used in Close Reading.
Author(s)
이고은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823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29
Alternative Author(s)
Lee, Go 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양창용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ⅰ
목 차 ⅳ
표 목 차 ⅵ
그 림 목 차 ⅶ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문제 2
Ⅱ. 이론적 배경 4
2.1 Close Reading 이란 4
2.1.1 Close Reading 의 기원 14
2.1.2 Close Reading 지문의 특징 17
2.1.3 Close Reading 에서 교사의 역할 21
2.2 읽기교육에서 Close Reading의 장점 25
2.3 Close Reading 적용 시 고려사항 27
2.4 선행연구 29
2.4.1 한국 읽기 수업 실태조사 연구 30
2.4.2 국내에서의 Close Reading 연구 33
2.4.3 좋은 질문에 관한 연구 34
2.4.4 Close Reading 의 효과성 입증 연구 39
Ⅲ. 연구방법 45
3.1 분석 대상 및 기준 45
3.2 분석 방법 및 절차 48
Ⅳ. 연구 내용 50
4.1 한국 영어 교과서 읽기 질문 분석 50
4.1.1 Right There 형 질문 분석 56
4.1.2 Think and Search 형 질문 분석 57
4.1.3 Author and Me 형 질문 분석 58
4.2 Close Reading 질문 분석 62
4.2.1 사실적 이해 질문 분석 62
4.2.2 글의 외적요소 이해 질문 분석 69
4.2.3 해석적 이해 질문 분석 76
4.3 Close Reading 의 실제 적용 79
Ⅴ. 결론 및 제언 87
5.1 요약 87
6.1 제언 89
참 고 문 헌 91
ABSTRACT 9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고은. (2019). Close Reading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질문 개선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