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 말하기 평가 연구: 정의적 영향과 평가의 객관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ssess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Focusing on Affective Effect and Objectivity in Assessment
Abstract
4차 산업 혁명의 도래와 교육부의 인공 지능(AI) 융합 교육과정 운영학교 선 정으로 인해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 을 받고 있는 인공 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도를 실제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정의적인 반응과, 평가의 객관성 확보 가능성을 중심으로 살 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반응은 어떠한가? 둘째,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안은 신뢰도를 가지며 학교 현장에서 평가의 도구로 활용하기에 타당한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제주도 내 J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 10명 을 대상으로 사전ㆍ사후 설문지, 활동 녹화 및 교사 관찰,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 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백분율 및 평균을 도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준별 학 생들의 활동 녹화를 하며 관찰일지를 작성하였다. 활동 녹화 후 학생들의 심층적 인 인식과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 및 학생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는 모든 수준의 중학교 영어학습자에게 '동기 유발'이나 '언어 불안 감소'와 같이 정의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하위그룹의 학습자에게 정의적 인 측면의 영향력이 더 컸다. 둘째,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질문 표현 과 인공 지능 스피커의 발화에 대한 이해도에서 연구 참여 학생의 기존 영어 성 적과 상응하여 비교적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모든 참여 학생은 인터뷰에서 인공 지능 스피커 활용할 시 '기기의 사적 감정이 입 불가능'과 '인공 지능 스피커의 실제적인 원어민 발음'을 이유로 공정하고 신 뢰할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넷째, 모든 연구 참여 학생은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가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대 답했다. 사후 설문 조사에서는 '심리적 부담감 감소'를 이유로 제시하였고 인터뷰 에서는 '발음 교정'이 영어 말하기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고 답했다. 다섯째, 인공 지능 스피커의 수행평가 도입 및 활용에 관해 연구 참여 중학교 영 어학습자는 '공정한 평가 가능', '불안감 낮은 평가 환경'과 같은 평가 결과 및 평 가 환경과 관련된 이유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인공 지능 스피 커 활용 영어 말하기 활동 및 평가에서 '기기의 속도 조절 불가능', 'AI 기기와의 상호작용 불가능'등이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말하기 평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우선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하여 영어 말하기 활동을 한 후에도 학생의 필요와 수준에 맞는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과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 지능 스피커 활용하여 영어 말하기 학습을 할 때 사전에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학 습자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활동이 주어져야 한다. 더불어,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 알맞은 영어 말하기 활동과 평가 모형의 개발이 필 요하다.
Author(s)
김민지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515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82
Alternative Author(s)
Kim, Min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申昶元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ⅰ
목 차 ⅲ
표 목 차 ⅴ
그 림 목 차 ⅵ
Ⅰ. 서론 1
1.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 문제 3
1.3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4
2.1 인공 지능 스피커와 영어 말하기 4
2.1.1 인공 지능 스피커 4
2.1.2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관련 선행 연구 6
2.2 대면 말하기 평가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평가 관련 선행 연구 8
2.2.1 영어 말하기 평가에 대한 정의적 반응 8
2.2.2 영어 말하기 평가의 객관성 10
Ⅲ. 연구 방법 14
3.1 연구 대상 14
3.2 연구 도구 14
3.3 연구 절차 17
3.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7
3.4.1 설문조사 18
3.4.2 영어 말하기 활동 질문지 구성 18
3.4.3 활동 녹화 및 교사 관찰 23
3.4.4 인터뷰 24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25
4.1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활동에 대한 정의적 반응 27
4.1.1 설문조사 결과 27
4.1.2 인터뷰 결과 31
4.2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평가의 객관성 35
4.2.1 평가 관련 설문조사 35
4.2.2 평가 관련 녹화 및 교사관찰 분석 39
4.2.3 인터뷰 결과 43
Ⅴ. 결론 및 제언 50
5.1 연구 결과 요약 50
5.2 제언 52
5.3 연구의 제한점 53
참고문헌 54
ABSTRACT 58
부록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민지. (2020). 인공 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 말하기 평가 연구: 정의적 영향과 평가의 객관성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